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부대평가) 국방부 국군의무사령부 국군강릉병원
    국방부 2023. 12. 19. 00:58
    728x90
    반응형

    국방부 국군의무사령부 국군강릉병원(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장점
    1. 훈련이 없다.(전입오고나서 단독군장 이상의 군장을 해본적이 없다.)
    2. 일과가 편하다.
    3. 밥이 맛있다.
    4. 매일매일이 전투휴무이다.
    5. 편의시설이 좋다.
    단점
    1. 휴가를 모으기 힘들다.(초과근무 30시간 해야 휴가 1일을 준다.)
    2. 부대위치가 안 좋다.
    3. 부대시설이 안 좋다.
    4. 의무병이 위병소 근무를 한다.
    5. 근무가 많다.
     
    이 글은 해당 부대에 복무하고 있는 병사들의 의견을 가지고 종합하여 작성한 것이니,
    그냥 재미있게 보시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상세
    강릉시 주문진읍 7번국도 상에 위치하고 있다. 하조대, 주문진, 경포 등 동해안 관광지에 인접하여 있다. 규모로는 약 20여명의 군의관이 진료하며, 100병상 이하의 병실을 가지고 있다.
    여느 군병원이 그렇듯, PX는 외진 인원의 대다수가 오픈 전부터 바글바글 줄을 서 있다. 외진 오면 PX는 반드시 들러주는 것이 어느 곳이나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피자, 치킨을 조리하여 판매하는 시설이나 카페 등은 입점해있지 않고 오직 PX만 존재한다.
    24시간 체제로 응급실이 운영되며, 본 병원의 진료능력을 초과하는 환자의 경우 의료전달체계에 따라 분당에 위치한 국군수도병원으로 후송하여 진료하게 된다. 또는 군 병원의 진료를 원하지 않는 경우 자비 진료 서약서를 작성하고 연간 30일 이내의 범위에서 청원휴가로 병가를 받아 스스로 민간병원을 찾아가 진료를 받는 방법도 있다.
    정양 병상을 운영 중으로, 민간병원에서는 수술 뒤 3일만 지나면 퇴원 조치되는 간단한 수술을 받고 나서 정상적인 군 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기능이 회복되는 약 한 달 동안을 정양 기간이라 부르며, 이 기간 동안 정양 병상에 입소 가능하다. 무조건 한 달은 아니며 소견서에 명시된 기간이 기준이다. 한 달 이상은 안 받아준다. 또한 소견서 발급, 서류 작성 후 심의 등, 약 하루에서 사흘 정도 걸린다는 일정한 절차를 밟아야 입소할 수 있다. 주치의는 따로 없는 일종의 요양소 역할로, 입원이라고 하지 않는다. 부대 복귀하여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열외하며 눈치 보이는 기간을 정양 병상에서 편히 머무를 수 있게 하는 의무사령부의 방침. 정양 병상은 다른 일부 군 병원도 운영하고 있으며, 규정을 상습적으로 위반하는 환자는 두 번 다시 안 받는다고 하니 주의해야 한다.
    정신건강의학과 폐쇄 병동은 기능을 중단하였기 때문에 입원은 불가하며, 외래 진료만 가능하다.
    국군강릉병원에서 기간병으로 입대하는 경우 본부근무대와 후송중대로 나뉘어진다. 본부근무대는 병원 시설 내부에서 일하는 보직이 대부분이고, 후송중대의 경우는 병원 밖 외부 건물을 사용한다.
     

    가는 길
    병원부대이기에 네이버 지도 등의 상용 지도 어플에 위치가 표시된다.
    시골 지역 특성상 시내버스는 배차간격도 길고 정류장도 도보 5분 이상 떨어져 있어, 대부분 자차 또는 택시를 이용하는 편. 인근에 관광지인 주문진항이 위치해 있어 (강릉버스터미널을 거쳐) 주문진버스터미널까지 시외버스를 타고 올 수도 있다.
    강남고속버스터미널 이용시: 강릉행 고속버스 이용 후 강릉시외버스터미널로 이동, 속초행 완행이나 터미널 밖에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302번, 314번, 315번을 타고 강원도립대에서 하차 후 택시 이용.
    동서울터미널 이용 시: 강릉경유 주문진행 시외버스 이용 후 주문진터미널 하차. 하차 후 택시 이용.
    서초동 남부터미널 이용 시: 주문진행 시외버스 이용 후 주문진터미널 하차. 하차 후 택시 이용.
    강릉역에서는 택시로 25분 소요.

    출처:나무위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