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대평가) 국방부 국군의무사령부 국군홍천병원국방부 2023. 12. 9. 00:15728x90반응형
국방부 국군의무사령부 국군홍천병원(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장점
1. 훈련이 1년에 1~2번 있을까말까하다.
2. 밥이 맛있다.
3. 부조리가 없다.
4. 개인정비시간이 잘 보장된다.
5. 편의시설이 좋다.
단점
1. 부대위치가 안 좋다.
2. 휴가를 잘 안 준다.
3. 제설을 많이 한다.
4. 환자가 너무 많이 온다.
5. 근무가 많다.
이 글은 해당 부대에 복무하고 있는 병사들의 의견을 가지고 종합하여 작성한 것이니,
그냥 재미있게 보시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개요
국군홍천병원은 국군의무사령부 예하의 국군병원이다. 1954년 3월에 창설하였으며,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두촌면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
1954년 3월 대구광역시에서 제2야전병원으로 창설, 1984년 9월 4일 국군의무사령부에서 제3군단으로 배속되며 부대명칭을 국군현리병원으로 변경하였다. 1992년 10월 2일 현재 위치인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 철정리로 이전 후 1996년 국군철정병원으로 부대명칭을 변경했다. 그리고 2010년에 병원 이름을 국군홍천병원으로 부대명칭을 바꾸었다.
제3군단 지원병원으로서 12사단, 21사단 등 3군단 예하부대와 제2군단과 제7기동군단 예하부대 및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부대 의무지원을 하고 있다.
2022년 기준, 본관 건물 공사가 마무리되었다. 진료소로 사용하고 있던 컨테이너 가건물은 선별진료소로 사용중이다. 본래는 영상의학과에 CT나 X-Ray 촬영밖에 할 수 없었고 MRI 촬영을 하려면 국군춘천병원으로 가야 했으나, 리모델링을 하면서 MRI 장비를 들여와 MRI 촬영도 할 수 있게 되었다.
편제
병은 본부중대와 후송중대로 나뉘어있고, 한 중대당 약 100~150여명씩 있다. 본부중대는 의무병이 절대다수이고, 보급병, 행정병, 영현병 등이 소수 있다. 후송중대는 운전병, 정비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무환경
영내 초소 앞 면회시설에 PX와 패스트푸드점이 있는데 피자와 치킨의 질적 수준이 상당히 좋다. 바깥의 양산형 치킨피자 브랜드보다도 훨씬 맛이 좋기에 점심시간에 진료받으러온 인원들이 끓어넘치면서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열린다. 병사들뿐만 아니라 선탑간부들도 종종 사먹곤 한다. 추가로 코로나로 인해서 좁았던 좌석 수가 더 줄어든 현재 자리를 맞추기 매우 어렵다. 물론 사람이 몰리면 거리두기는 뒷전이 되기도 하지만 이런 쪽에 예민한 사람이라면 야외 벤치에서 먹는 것도 나름대로 좋다.
사건,사고
2008년 2월 20일, 국군홍천병원에서 중환자 특기 간호장교로 근무하던 선효선 대위가 당직이 아님에도 심야 응급환자 후송작전에 나섰다가 복귀하던 중 용문산 근처에서 기상 악화로 헬기가 추락하면서 순직했다(탑승자 7명 전원 사망).
이때 추락한 헬기 기종은 노후 기종으로 악명높은 UH-1. 순직 당시 복장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체육복 차림이었다고 하며(그것도 탑승자 중 유일하게) 각 3살/생후 6개월 된 딸들을 남기고 유명을 달리하여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 소령으로 1계급 추서 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장교제2묘역에 안장되었으며 2009년 2월 11일 보국훈장 삼일장이 추서되었다. 2012년부터는 '선효선 상'을 제정하여 간호병과 창설일인 매년 8월 26일에 모범이 되는 간호장교 대위 1명을 선정, 시상한다고 한다. 이 외에도 국군간호사관학교 동문 전체와 현역 간호장교들이 뜻을 모아 2009년 11월 6일 생도회관에 고인의 부조상을 건립하였고 국군의무학교에도 당시 순직한 장병들의 흉상을 건립, 사고일인 매년 2월 20일 추모 행사를 한다.728x90반응형'국방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대평가) 국방부 국군방첩사령부 800방첩부대 (0) 2023.12.11 부대평가) 국방부 국군지휘통신사령부 52정보통신대대 (2) 2023.12.10 부대평가) 국방부 국군지휘통신사령부 50정보통신대대 (0) 2023.12.08 부대평가) 국방부 국군지휘통신사령부 51정보통신대대 (0) 2023.12.07 부대평가) 국방부 국군지휘통신사령부 57정보통신대대 (2) 2023.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