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대평가) 3군단 3군수지원여단 13보급대대3군단 2024. 7. 8. 00:01728x90반응형
3군단 3군수지원여단 13보급대대(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장점
1. 밥이 맛있다.
2. 훈련의 강도가 빡세지 않다.
3. 훈련이 적다.(비전투부대이다.)
4. 부조리가 거의 없다.
5. 외출시 버스지원을 해준다.
단점
1. 근무가 많다.
2. 부대위치가 안 좋다.
3. 부대시설이 안 좋다.
4. 저녁점호시 군복을 입고한다.
5. 두발규율이 빡세다.
이 글은 해당 부대에 복무하고 있는 병사들의 의견을 가지고 종합하여 작성한 것이니,
그냥 재미있게 보시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연혁 및 특징
3개의 사단과 7개의 여단을 예하에 두고 있다. 기린대 또는 산악부대로 불린다.
한국 전쟁 중 1950년 10월 16일 서울시 중구 남산동에서 초대 이형근 소장이 군단장에 임명되고 9사단, 11사단을 편성하여 창설되었다. 그러나 창설 7개월 만인 1951년 5월 16일 창촌으로 철수하던 제9보병사단이 중공군의 2개 군단에 의해 오마치 고개가 점령된 것을 알게 되었다. 5월 17일, 반격을 포기하고 현리에 집결하여 오마치 고개를 돌파하려 했으나, 북한군 제5군단, 12군단, 27군단의 공세에 대응하지 못하고 퇴각 작전은 실패하였다. 작전이 실패하면서 군단은 전투의지와 통제를 잃었으며 후퇴하는 도중, 군단장 유재흥 소장이 지휘권한을 버리고 항공기로 이탈하였고, 5월 22일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까지 후퇴하였다. 1951년 5월 26일 미국 제8군 지휘관 제임스 밴 플리트 대장이 책임을 물어 유재흥의 직위를 박탈하고 3군단을 해체시켰다. 군단 예하의 제2, 5, 9, 11사단은 각각 미8군 예하 배속되었다.
1953년 5월 1일, 강문봉 소장을 군단으로 임명하고 제20, 22사단을 예속받아 강원도 인제군 관대리에서 재창설되었다. 같은 해 12월 15일, 제1야전군 예하의 군단이 되었다. 이후 주요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다.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 12사단을 궤멸시킨 매봉·한석산 전투를 비롯해 백석산, 펀치볼 전투 등에서 영토를 사수, 확보했다. 정전협정 체결 후에도 1968년 울진 삼척지구 무장공비 침투사건 소탕작전, 1990년 제4땅굴 발견, 19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소탕작전 등을 완수했다. 1972년 7월 27일 소양강댐이 건설되어 본래 주둔지인 관대리가 물에 잠기자 부대를 기린면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1983년에 제22보병사단과 제68훈련단을 의정부로 이전한 제7기동군단에서 편입했으나, 1987년에 영동지역의 지역방위 기능을 다시 제8군단으로 분리하면서 다시 빠져나갔다.
전군에서 근무 환경이 척박하기로 손에 꼽히는 군단 중 하나이다. 수도군단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제1군단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제2군단은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제5군단은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제7기동군단은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인데 반해 제3군단은 주둔지가 군단급 중에서는 유일하게 군급이자 행정구역이 DMZ에 마주하는 유일한 지자체다.
스스로를 산악군단이라 자부하는 군단인 만큼 유달리 산을 홍보하는 모습을 잘 보여준다. 그에 걸맞게 소속 사단들은 한결같이 근무 환경이 최악을 달린다. 그럴 수밖에 없다. 3군단은 155마일(248km) 휴전선 중 가장 넓은 일반전초(GOP)를 담당하고, 평균고도는 물론 가장 높은 해발고도에 위치해있기 때문이다. 제12보병사단과 제21보병사단의 경우, 제7보병사단과 더불어 가장 험준하기로 유명한 GOP를 담당하고 있다. 이들 부대의 주둔지는 강원도 인제군, 양구군, 홍천군[8] 일대. 지금은 해체되어 없어졌고 비록 GOP 사단은 아닌 예비 사단이지만 살인적인 행군량과 훈련량으로 악명이 높았던 (구)제2보병사단 또한 3군단 예하 사단이었다.
교통도 열악해서 2017년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전까지 여기로 오려면 홍천을 지나 44번 국도를 타고 인제까지 올라가서 31번 국도로 현리까지 역행하는 경로가 가장 안전했다. 홍천에서 현리로 바로 가는 451번 지방도는 말 그대로 산을 넘고 돌아가기 때문에 구배와 경사가 험악하기로 악명 높기 때문이다. 금강고속에서 운행하는 홍천-현리 시외버스를 이용하면 이 길을 처음부터 끝까지 거쳐가는데, 길이 오죽 험하면 1월 중순에는 시외버스 운행이 전면 중단되고, 동서울까지 연장하는 회차에는 현리나 동서울에서 출발한 차량이 홍천에 도착하면 운전자를 교체한다. 구간만 운행하시는 분이 6명 정도 있다고 한다.
그 유명한 인제 가면 언제 오나, 원통해서 못 살겠네. 그래도 양구보다 나으리에 해당되는 동네이지만, 지금은 양구는 춘천까지 도로로 40분, 현리는 서울양양고속도로로 2시간 이내 정도면 간다.
단 여전히 추운 동네인 건 어쩔 수 없는 듯. 제12보병사단, 제21보병사단 GP/GOP는 고지대라 7월 아침 기상시에 입김을 불면 입김이 서릴 정도이다. 산간 지역으로 추정되는 모 예하 부대에서는 병사들이 하절기에 추워서 전투복 소매를 내리니 행정보급관이 '하절기에는 팔을 걷어 올리는 것이 원칙'이라며 전투복은 하절기에 맞춰 팔을 걷어 입되, 추우면 그 위에 야전상의를 덧입으라고한 적도 있다. 육군의 복제규정에 의거, 야전상의는 사계절 언제나 착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훈련소는 낮은 곳에 있으니 그나마 괜찮은데, 7월에 신병교육대에 입소해 GOP로 자대 배치를 받으면 깔깔이를 입고 돌아다니는 이들을 볼 수도 있다.
경례구호로는 '충성'을 사용하며 1997년도에 '단결'에서 '충성'으로 변경되었다.
2023년 5월 1일에 제8군단이 해체되어 제8군단에 있던 예하부대를 이관받았다.
근무환경
3군단 사령부는 근처 내린천에 동계 체력단련장, 하계 체력단련장을 운영하는데 바로 코앞에 있는 731 부대에서 관리한다. 여기를 관리하는 일을 자원하게 되면 일과를 빠지고 여기를 관리하게 되는데 폐장을 하고 나서 포상 휴가를 받을 수도 있다. 특히 겨울철 체력단련장은 눈이 올 때면 스케이트장 내의 눈을 제설해야 하고 모아놓은 눈을 옆에 있는 눈썰매장에 옮겨 관리한다. 기상에 따라 날이 더워서 눈이 녹으면 눈썰매장은 폐장된다.
3군단 예하 사단 신병교육대에서는 매 기수마다 일정 인원들을 3군단에 자대배치시킨다. 단, 이때는 세부적인 자대가 나오는게 아니라 3군단이라고 뭉뚱그려서 전속부대가 나온다. 몇 몇 훈련병들이 군단 사령부에 간다고 기뻐할지도 모르지만 배치 범위는 사단을 제외한 전 부대이다. 사령부 내에서 근무하는 본부근무대는 극소수의 인원들이 배치되고 단급 이상 부대인 제3포병여단, 제3공병여단, 제3군수지원여단, 제103정보통신단에서 다수의 인원들을 데려간다.
기수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의 훈련병들은 위로휴가가 많이 나오는 GOP 및 수색부대 근무를 희망한다. 비교적 후방으로 빠지는 군단직할대로 간다고 하면 시무룩하는 경우가 많다. 여타의 군단사령부나 직할대가 비교적 도시지역에 위치해있는 반면 3군단의 경우 위치가 그닥인 점도 한몫한다.출처:나무위키
728x90반응형'3군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대평가) 3군단 20기갑여단 전투근무지원대대 (0) 2024.07.10 부대평가) 3군단 3군수지원여단 93정비대대 (0) 2024.07.09 부대평가) 3군단 3공병여단 여단 직할대 (0) 2024.07.07 부대평가) 3군단 3공병여단 136공병대대 (0) 2024.07.05 부대평가) 3군단 103정보통신단 731통신대대 (0) 2024.07.04